콘텐츠 맛보기
- 분 류
- 어원사전


고독하다, 외롭다 - 어원과 뉘앙스 차이
가을이 되면 우울함을 느끼는 사람이 적지 않다. 여기에 비라도 올 경우 쓸쓸함이 더 강하게 느껴져서 심한 외로움에 젖게 된다. 그런가하면 연인과 헤어졌을 때에도 마음이 외롭고 슬퍼지기 일쑤다. 이런 기분을 ‘고독’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런데 ‘고독’이란 본래 무슨 뜻일까?
‘고독’(孤獨)은 원 뜻을 알면 쉽게 쓰기 어려운 말이다. 왜냐하면 고독한 사람은 ‘부모를 여의고, 짝을 잃은 사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고아(孤兒)’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孤’(외로울 고)는 부모를 잃어 외로운 상태가 된 사람을 뜻하고, ‘獨’(홀로 독)은 독신(獨身)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배우자를 잃은 사람’을 의미한다. 또한 독(獨)자는 ‘늙도록 자식이 없는 사람’을 뜻하기도 한다.
중국의 <삼국지(三國志)>에 ‘아버지를 잃은 딸’이라는 의미로 ‘고녀’(孤女)라는 말이 처음 보이며, <사기(史記)> 추양전(鄒陽傳)에 ‘고독’(孤獨)이라는 말이 처음 보인다.
요컨대 고독은 소중한 인연을 지닌 어머니․아버지․자식이 모두 세상을 떠나고, 결혼하여 같이 산 배우자(남편 혹은 아내)마저 곁을 떠나간 절망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소중한 인연의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절망적인 상태가 곧 고독한 것이다.
따라서 ‘고독하다’는 근원적으로 혈연적 단절 상태를 의미하며 나아가 그 의미가 확장되어 인간관계의 단절을 상징한다. 무리에 속해있으나 혼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군중 속의 고독’이라 표현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고독하다’와 비슷한 말로 ‘외롭다’가 있는데, ‘외롭다’는 홀로 되거나 의지할 데 없어 쓸쓸한 상태를 말한다. ‘외롭다’의 어근은 ‘외’이며, ‘외’는 ‘왼쪽(왼쪽으로)’를 의미한다.
우리 사회에서 전통적으로 왼쪽은 오른쪽에 비해 천대받는 방향이어서 ‘왼’․‘외’는 좋지 않은 뜻으로 많이 쓰였다. <용비어천가>에서 ‘외오’라는 말은 ‘잘못되게’ ‘그릇되게’라는 의미로 쓰였고, 일상어에서도 ‘왼일’은 ‘잘못된 일’이었다. 심지어 왼손잡이는 구박을 받으며 오른손 사용을 강요당할 정도였다.
이런 정서에서 많은 사람들과 달리 홀로 선택한 길은 ‘외로운’ 일이었고, 자연스레 ‘외’는 하나 또는 혼자 있는 상황을 가리키면서 외아들 외동딸 외기러기처럼 쓰였다. ‘외로움’ ‘외롭다’ ‘외로운’은 모두 ‘외’에서 나온 말이다.
‘고독하다’와 ‘외롭다’는 모두 ‘혼자라서 외로운 상태’를 의미하지만, ‘고독하다’는 주위에 마음을 함께할 사람이 없어 혼자 동떨어져 있음을 느끼는 상태, ‘외롭다’는 혼자라고 느껴 주위에 의지할만한 상대가 있었으면 하고 바라는 상태라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의미
․고독하다: 마음을 함께할 사람이 없어 혼자 동떨어져 있음을 느끼는 상태에 있다.
․외롭다: 홀로 되거나 의지할 곳이 없어 쓸쓸하다.
#예문
-카프카 소설 <변신> 주인공 이름 ‘잠자’는 체코어로 ‘고독’이라는 뜻이다.
-그는 늘그막에 자식도 없이 외롭게 살고 있다.
원고를 매체(신문, 잡지, 사보, 휴대폰앱, 웹사이트, 방송 등)에 게재하거나,
단행본 출판을 원하는 분은 별도 문의 바랍니다.

번호 | 글제목 | 카테고리 | 이름 |
---|---|---|---|
14 | ![]() |
어원사전 | 만물유래사전 |
13 | ![]() |
행운문화사전 | 만물유래사전 |
12 | ![]() |
호기심박스 | 역사토픽 |
11 | ![]() |
행운문화사전 | 만물유래사전 |
10 | ![]() |
최초유래 | 만물유래사전 |
9 | ![]() |
365일일유래 | 만물유래사전 |
8 | ![]() |
어원사전 | 만물유래사전 |
7 | ![]() |
호기심박스 | 문학예술토픽 |
6 | ![]() |
어원사전 | 만물유래사전 |
5 | ![]() |
행운문화사전 | 만물유래사전 |
4 | ![]() |
호기심박스 | 흥미진진토픽 |
3 | ![]() |
행운문화사전 | 만물유래사전 |
2 | ![]() |
어원사전 | 만물유래사전 |
1 | ![]() |
행운문화사전 | 만물유래사전 |

